검색결과 리스트
글
질병의 생물학적인 분석을 넘어 사회학적인 책임을 묻겠다는 큰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 책이다.
저자 교수님의 땀과 헌신, 진정성이 책의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연구를 한다면 이런 의미있는 연구들을 해내고 싶다는 바람을 가지는 것이,
아직은 너무 크고 멀고 험난할 것 같지만. 꿈이라도 크게, 목적은 숭고하게 가져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책발췌)
p.7
질병의 사회적 원인은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습니다. 더 약한 사람들이 더 위험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그래서 더 자주 아픕니다.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소득이 없는 노인이, 차별에 노출된 결혼이주여성과 성소수자가 더 일찍 죽습니다.
p.14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살아갑니다. 직장과 학교와 가정에서 맺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존재하지요. 그 관계들은 종종 인간의 몸에 상처를 남깁니다. 미세먼지가 천식을 유발하고 석면이 폐를 망가뜨리는 것처럼 우리가 관계 속에서 겪은 차별과 같은 사회적 폭력 역시 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사회역학은 그 사회적 관계가 인간의 몸에 질병으로 남긴 상처를 해독하는 학문입니다. 그런데 미세먼지나 석면 노출을 측정하는 일에 비해, 차별 경험을 측정하는 일은 인간의 사회적 경험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더 예민하고 어렵습니다. 사회적 폭력에 노출된 약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적절한 언어를 가지지 못할 때가 많기 때문입니다.
>말하지 못한 차별 경험, 기억하는 여성의 몸<
한국의 노동자들이 겪는 다양한 차별 경험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던 때입니다. Kim S-S, Williams DR. 2012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PLos ONE 7(1): e30501 데이터를 분석하다가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귀하는 새로운 일자리에 취업할 때 차별을 겪은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 때문이었습니다. (중략) 그런데 직장인 152명이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대답한 것입니다. 이미 취직한 사람들이니까 '구직 과정에서 차별을 경험했는가?'라는 질문에 '예' 아니면 '아니요'라고 답해야 하는데, 무슨 이유로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한 것일까요?
(중략) 결과는 성별에 따라 명확하게 나뉘었습니다. 남성 노동자가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했을 때 그 대답은 '아니요(구직 과정에서 차별받은 적이 없다)'를 뜻했습니다. 하지만 여성 노동자가 같은 답을 했을 때 그것은 '예(구직 과정에서 차별받은 적이 있다)'라는 뜻에 가까웠습니다. 같은 대답이지만 남성과 여성에게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지요. 구직 과정에서의 차별만이 아니었습니다. 월급을 받는 과정의 차별 경험을 측정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성의 '해당사항 없음'은 차별을 받았다는 뜻이었고, 남서의 경우에는 그 반대였습니다. 이 결과는 여성 노동자가 구직 과정에서 혹은 일터에서 차별을 경험했다고 말하는 것이 남성에 비해 더 어렵고 예민한 일임을 보여줍니다.
(중략) 남성의 경우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변한 사람들과 차별받지 않았다고 답변한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여성의 경우 달랐습니다.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한 사람드이 가장 많이 아팠습니다. 심지어 차별을 경험했다고 말한 사람들보다 건강 상태가 더 나빴습니다. 차별을 경험했지만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변했던, 자신의 차별 경험을 말하지 못하는 이들이 실제로는 가장 많이 아팠던 것입니다. [논문은 출간되지 않음]
p.21
차별 경험과 건강에 대해 연구하는 하버드보건대학원의 낸시 크리거 교수는 설문이나 인터뷰를 통해 차별과 같이 예민한 경험을 측정할 때는 차별을 경험하는 것, 그 경험을 차별이라고 인지하는 것, 그 인지한 차별을 보고하는 것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Krieger N. 1999. "Embodiying inequality: a review of concepts, measures, and methods for studying health consequences of discrimination". Int J Health Serv. 29(2):295-352. 비슷한 형태의 차별을 경험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차별로 인지하지 못하고, 또 차별을 인지한다고 해서 모두가 그성르 연구자에게 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인종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 실험 연구는 미국사회에서 약자인 흑인, 여성, 아시아인들이 차별을 경험했을 때, 그 경험을 차별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자신이 잘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합니다. 자신의 잘못 때문에 차별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차별을 있는 그대로 인지하는 것보다 심리적으로 불편함이 덜하기 때문이라고 연구는 설명합니다. Ruggiero KM, Taylor DM. 1997. "Why Minority Group Members Perceive or Do Not Perceive the Discrimination that Contronts Them: The Role of Self-Esteem and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2):373-389.
p.174
트라우마에 대해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은 의학적인 치료방법이 지닌 한계를 지적합니다. 이들은 환자가 겪는 고통의 원인을 생물학적으로 파악할 때, 특히 구조적 폭력에 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그런 방식으로 분석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합니다. 약물 치료와 인지 치료로 그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는 생각은 "환자들이 경험한 고통을 초래한 폭력적인 사회 조건을 모호하게 만들고", "고통의 유발 경로를 흐릿하게 함으로써, '설명 없는 치료'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는 지적입니다. 김명희, 2015. "고통의 의료화: 세월호 트라우마 담론에 대한 실재론적 검토". 보건과 사회과학 38:225-245.
트라우마에 대한 많은 연구는 인간의 몸에 상처를 남기는 과정에서 트라우마를 초래한 사건 자체만이 아니라 그 이후에 사건의 의미가 해석되고 재생산되는 사회적 환경이 외상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라고 말합니다. 그 고통을 초래한 사회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자신이 겪는 고통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을 때 트라우마는 더욱 확대 재생산되는 것이지요. 이현정. 2015. "세월호 참사와 사회적 고통: 인류학적 현장ㅈ보고.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 심포지움: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독서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심리치료사입니다 -2019.8 (0) | 2019.08.08 |
---|---|
애착과 심리치료 - 대학원 스페셜 5 (0) | 2018.06.18 |
정신 분석적 진단 - 대학원 스페셜 4 (0) | 2018.06.18 |
긍정적 중독 - 대학원 스페셜 3 (0) | 2018.06.18 |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대학원 스페셜 2 (0) | 2018.06.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