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적 질적 연구 - Clara E. Hill (1)

미국유학/연구 2019. 10. 20. 02:15

p.21

질적 연구란 인간 내면의 의미를 찾아 나가고 인간 마음의 지도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직성을 바탕으로 실행해 나가는 과정이므로 심리학을 연구하는 사람과 일반인에게 모두 특별한 배움의 길을 제시한다. 좋은 질적 연구란 인간이 사회적 동물로서 제대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는 인간의 모든 경험을 이해해 나가고자 하는 시도와 더불어 타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바탕으로 한다. - McLeod의 정의(2011)

 

"질적 연구 방법론의 목적은 사회가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연구해 나가는 것이다." 이 문장은 우리가 복잡한 세계에 살고 있으며 지식이라는 것은 하나의 절대적 진리가 아닌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한다.

 

합의적 질적 연구(CQR)의 핵심 요소

1. CQR은 연역적이기보다는 귀납적이다.

2. CQR은 참가자의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을 사용해서 다양한 답변을 얻어낸다.

3. CQR은 숫자보다는 단어(대화체와 이야기)를 사용한다.

4. CQR은 사례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개별적인 요소를 이해한다.

5. CQR은 소수의 사례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6. CQR은 자료 분석을 하는 주된 팀원 최소 3명의 다양한 관점에 의존하고, 주된 팀의 작업을 체크하는 자문을 1~2명 둔다.

7. CQR은 팀원 간의 합의를 중시한다.

8. CQR은 윤리적인 문제와 신뢰 그리고 문화의 역할을 강하게 강조한다.

9. CQR은 연구자들이 결론이 날 때마다 끊임없이 초기 자료로 돌아가서 결론을을 검증할 것을 요구한다.

 

1) 귀납적 접근: 이론적 구조를 강요받지 않거나 가능한 적게 받아들이면서 자료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허용된다.

2) 면담에서 개방형 질문의 사용: 참가자들의 경험에 대해 미리 생각할 시간을 주지 않고 주제에 대해 무엇이든지 떠오르는대로 말하도록 질문한다. 

3) 언어에 기반: 각 단어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의미만 염두에 두기보다는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가능한한 한 개방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4) 맥락의 중요성: 참가자가 표현한 개인적인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자는 개인이 말한 모든 것에 깊이 몰두한다.

5) 적은 수의 표본 사용: 질문에 담긴 현상을 경험했으며 자신의 경험을 명확히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들을 모집

6) 다양한 관점: 여러 사람의 판단이 필요하다. 자료에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는 태도이며 자료에 관해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할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의 차를 일률적인 통계 방식을 사용해 하나의 사사고 과정으로 묶어서 처리하는 과정을 원하지 읂는다. 대신 서로 다른 관점들을 모두 경청하고 팀이 자료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합의를 이끌어 내기를 원한다. 그렇지만 모든 팀은 필연적으로 집단 역동에 부딪힌다. 어떤 사람은 지배적적이고 어떤 사람은 비비교적 조용하며, 어떤 사람은 조화를 위해 노력하고, 어떤 사람은 자기 생각을 주장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자료가 집단 역동에 의해 좌우되기도 하기 때문에 집단 연구에서는 확인을 위한 기제를 만들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상 자문이 팀의 균형을 확인해 주며, 자료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7) 합의: 자연스럽게 만장일치가 된 결정. 연구법에서 연구자들은 합의를 이루어 나가는 과정 중에 자료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구성원이 자료에 대한 최선의 설명이라고 동의할 때까지 토의한다. 다른 말로, 연구자들은 각장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격려하는 분위기에서 자료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찾아 낸다.

8) 윤리와 신뢰성, 그리고 문화: CQR은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연구 절차에서 가능한 한 주의해야 한다. 

9) 지속적인 자료 검토 작업: 자료에 대해 이해가 필요할 때 끊임없이 초기의 원자료로 다시 돌아가는 것. 

 

CQR은 연구자가 개인 내면의 태도, 내적 경험, 신념 등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데 이상적이다. 또한 연구자가 관찰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내면의 사건을 조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연구자는 사건뿐뿐만 아니라 태도 (예, 심리치료에 대한 태도)와 신념 (예, 사회정의에 대한 믿음)에 대해서도 연구할 수 있다. 

 

GT와 CQR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 참가자들과 면담한다.

* 말을 영역별로 분류하여 그 속에서 중심이 되는 핵심 개념과 영역을 개발한다.

* 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계속해서 원자료로 되돌아가 탐색한다.

 

CQR과 GT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CQR 연구자들은 반구조화된 면담 계획안을 만들고 참가자에게 같은 질문을 하며, 면담 자료에 개인적인 정보가 드러나도록 참가자를 격려한다. 이와 반대로 GT 연구자들은 면담 계획을 자유로이 하며, 면담 참가자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이를 구조화하여 모든 참가자에게 동일한 질문을 하지는 않는다.

* GT 연구자들은 자료 분석과 자료 수집을 번갈아 하며, 자료가 이론화 되면 연구를 종료한다. GT 연구는 이론이 형성성될 때까지 자료를 계속 수집하지만, CQR 이론에서는 미리 참가자 수를 정한다.

* GT는 종종 연구자 1명이 자료를 분석한다. 반면에 CQR은 다양한 연구자와 자문이 함께 합의점을 찾는다.

* GT 연구자들은 핵심 개념을 먼저 구축하고, 그 다음으로 영역에 핵심 개념을 배치한다. 그리고 하나의 핵심 범주 아래에 계층 구조를 만든다. 이와 대조적으로 CQR 연구자들은은 영역을 먼저 구성하고, 다음으로 핵심 개념을 구조화하고, 영역과 카테고리, 하위 범주의 계층 구조를 개발한다.

* GT 연구자들은 특징별로 범주를 묘사하는 반면에 CQR 연구자들은 그렇지 않다.

* CQR 연구자들은 목록과 하위 목록이 일반적인지, 전형적인지, 드문지를 명시한다. 하지만 GT 연구자들은 다양한 목록에 얼마나 많은은 참가자가 들어맞는지 명시하지 않는다.

* CQR은 비교적 자료 분석에 고정된 방식을 사용하지만 GT는 가변성과 융통성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들은 이 방법을 이해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posted by serge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