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corners

생각 2019. 12. 2. 10:29

좋아하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오랫동안 동업을 해 온 건축업자와 부동산 사장이 있었다.

둘은 아주 좋은 파트너십을 유지 했는데, 건축업자가 은퇴를 결심했다.

은퇴를 결심한 건축업자에게, 부동산 사장이 마지막으로 한번만 니가 원하는 가장 멋진 집을 만들어 달라고, 재료값이나 시공비는 자유롭게 쓸 수 있겠다고 부탁/사정을 했다.

건축업자는 부동산 사장이 원하는대로 집을 만들었지만, 자재를 빈약하게 쓰고 모퉁이를 깎아 자신의 이익을 챙겼다 (cut-corners를 한 것이다).

지루했던 공사가 끝나고, 부동산 업자에게 일의 마감을 알린 건축업자는 충격적인 말을 들었다.

자신이 모퉁이를 깎아 이익을 만들었던 그 집이 사실은 부동산 업자가 건축업자를 위해 마련한 마지막 선물이었다고.

원하던 집이 생겼으니 이제 그 곳에 들어가 살기만 하면 된다고, 열쇠를 쥐어준 것이다.

 

이 이야기는 모퉁이를 깎아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사기꾼들에게,

결국은 자신이 깎은 모퉁이 만큼 그 손해를 받게 된다는 교훈을 전해 준다.

현실이 동화처럼 권선징악적이거나 납작하지는 않지만,

나는 이 이야기를 들으면 위안이 된다.

 

시키는 대로 모두 제대로 다 해내고 싶은 assigned readings, RA works, 그리고 맡겨진 업무들 가운데에서

"뭘 그렇게 까지 하냐." "적당히 해라."라는 메시지가 많았던 이전의 한국사회, 그리고

심지어 지금 내 주변의 사람들 속에서

나를 지켜주는 신념과 맞닿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빠르게든, 느리게든 간에 사람들은 서로의 됨됨이를 너무나도 잘 알게 될 수 밖에 없다는 또 하나의 신념과,

모퉁이를 깎는 이들과 어울리고 싶지 않고 존경하고 싶거나 따르고 싶은 성실한 학자들과 가까이 하고 싶어서,

결국 나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작은 바람이 맞물려서.. 오늘도 리딩을 하고 있네.

 

 

수업 시간에 discussion을 하다보면,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에 대해서 옹호를 해야 할 때가있다.

그럴 때면, 내가 한국에서 상담을 배워서 좀 다른건가 싶긴 한데.

막상 논문들을 읽고 나면, 그리 다르지도 않았어서..

결국 작은 사실이든 (ex. 그 이론에서 단계 순서가 그게 아닌데?)

큰 토론이었든 (ex. 상담사로 training을 받을 때 한국에선 personal therapy가 의무인 곳도 있어. 미국은 이게 완전 이상한 얘기처럼 받아들여 진다고?)

즉시 검증이 되든, 시간이 지나고 나서든 간에 책에서 논문에서 다 평이하게 뒷받침 되는 나의 의견들..

 

제발 책 좀 읽고 오라고 말을 해 줄 수도 없고...

 

여자로서 그리고 이방인으로서,

아무튼간에 나는 좀 더 의견에 자신감을 가지고

또 authoritative information과 citation을 많이 모아야 겠다고,

그런 생각을 해 본다.

 

그런 점에서 오늘 리딩 하다 발견한 공감되는 말들 적어두기.

 

Psychotherapy works (Miller, Hubble, Chow, & Seidel, 2013).

 

Some therapists are more (or less) helpful than others (Miller, Hubble, & Duncan, 2007)

 

What does reliably improve is therapist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Miller et al., 2007).

 

Taking each in order, although nearly 80% of practitioners cite a personal therapy as key to becoming a better therapist-second only to supervision (Orlinksy & Ronnestad, 2005). 

 

In sum, expertise is not inherited nor does it directly follow from mere time spent in a given field or profession. Instead, top performers are made, a result of their "life-long... deliberate effort to improve". 

Erisson and colleagues (1993) found that the best work harder and smarter at improving their craft than the less capable players. Specifically, those at the top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three times as much- than those at the bottom engaged in solitary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to better their performance. The best were more dedicated in every way. They devoted less time to leisure and more time to music-related activities. Additionally, they knew when they were slacking off, unlike the other subjects in the study who tended to underestimate time spent in recreation and relaxa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this initial research, similar results have been found in sports, chess, business, computer programming, teaching, medicine, and surgery. Ericsson et al. (1993) introduced the term deliberate practice to refer to the universal proces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expertise across a variety of pursuits.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02/2020] Privileged vs. Entitled  (0) 2020.09.03
한국, 겨울  (0) 2020.01.03
[10/23/2019] 우리는 섬과 같은 존재들이다.  (0) 2019.10.24
projection  (0) 2019.10.23
부디 영면하여 평안하기를,  (0) 2019.10.17
posted by serge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