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다 beyond the curve, 2018>
흥미로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보았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속담을 조언으로 여러번 들었다. 그 속담은 완전히 틀린거라고 대답하면서도, 떠나지 못하는 내 자신이 이해할 수 없고 한심스럽게 느껴 질 때 쯤, 조금은 위안이 되는 메시지들.
안아키. 일베. 타진요. 그리고 창조과학.. 자정작용을 잃은 채 고립된 단체들이 괴물로 돌아와 일으켰던, 그리고 현재도 진행 중인 한국사회의 수많은 문제들을 생각나게 한다.
I saw an interesting documentary on Netflix, which is about flat earthers. Many friends of mind advised me that I should leave my religion if I am suffering too much there. I responded that it is not my option, but I know I am exhausted. In those fluctuations of the mind, this documentary gives me some consolation.
------아래: 일부내용 the part of contents is below
평면 지구인들이 해를 끼치는 건 아니잖아요?
시간을 많이 쏟아 생각해야하지 않는다면, 좀 웃기기도 해요. 그런데 문제는 이 현상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준다는거죠.
So flat earthers, pretty innocuous, right?
It's a little bit funny if you do not spend too much time thinking about it.
But the problem is that this is not a phenomenon restricted to flat earthers.
점점 많은 수의 사람들이 비평적 사고를 할 줄 모르고 전문 지식을 평가할 줄 모르면 선동하기도 쉬워지죠.
If you have a growing section of the population that does not know how to think critically and does not know how to evaluate expert resources, they are gonna be easy to manipulate.
백신 접종 거부자부터 시작해서 예를 들면 진화론도 거부하죠. 성경과 안 맞기 때문이에요. 이런 일이 계속되면 언젠가 공무원 중에도 날씨 전문가 의견 중 97퍼센트를 안 믿는,사람도 생기겠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결정을 내리게 될 거예요. 그건 모두에게 영향을 주죠.
It runs the gamut from people that are anti-vaxxers. Denial of evolution because it conflicts with the bible, for example. Then all of a sudden you get people that may work in our government that does not believe what 97 percent of all climate experts say. And so they are making uninformed or poorly informed decisions, and that affects all of us.
그들과 대면하지 않으면 변화를 기대해서도 안 되죠.
If you are not willing to engage with them, you can't expect them to change.
어떨 땐 사람의 마음을 바꾸려면 창피를 주는 수 밖에 없다고 한 친구가 그러더군요. 전 창피 주는게 해결책이 될 순 없다고 봐요. 그건 수업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가 있으면 선생님이 아니라 아이 잘못이라는 건데 전 동의 안합니다.
My friend said, "Sometimes the way to change somebody's mind is to shame them." And I say. I don't think that it is the last resort, ever. This is the same as saying that if a kid doesn't get a particular subject, it is not your fault as their teacher, it is their fault. I cannot believe that.
'독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울 때마다 엄마 얼굴이 된다 - 2019.12.26 (0) | 2019.12.26 |
---|---|
골든아워 - 2019.07.07 (0) | 2019.07.23 |
The Displaced - 2019. 3. 6 (0) | 2019.03.07 |
희랍어 시간 - 2019.01.31 (0) | 2019.02.01 |
살인자의 기억법 - 2019.01.30 (0) | 2019.01.31 |
글
독서 모임을 시작했다. 금주는 이번 학기의 peak week였는데, 2nd 통계시험과 발표 두개가 끝났다. 이제 2시간짜리 발표하나와 페이퍼들만 완료하면 된다. 마음이 가볍다. 여름에 데이터 모을 연구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분이 좋다.
The Displaced, 부제 Refugee writers on refugee lives.
난민의 삶을 풀어낸 글들의 모음이다. 퓰리쳐 상을 받은 책이라고.
독서모임 가입했더니 무료로 나눠주셨다 :) 역시 풍요로운 나라, 그 중에서도 부유한 곳 대학...
금주에는 시험시간이랑 겹쳐서 못 갔지만, 다음주부터 참여할건데 꽤 기대가 된다.
읽으며 주옥같은 구절들이 있어 남기고 싶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예정)
첫구절부터 강렬했다.
I was once a refugee, although no one would mistake me for being a refugee now. Because of this, I insist on being called a refugee, since the temptation to pretend that I am not a refugee is strong. It would be so much easier to call myself an immigrant, to pass myself off as belonging to a category of migratory humanity that is less controversial, less demanding, and less threatening than the refugee.
I remember all these things because if I did not remember them and write them down then perhaps they would all disappear ...
The other exists in contradiction, or perhaps in paradox, being either invisible or hypervisible, but rarely just visible.
Invisible and hypervisible, refugees are ignored and forgotten by those who are not refugees until they turn into a menace.
A writer is supposed to go where it hurts, and because a writer needs to know what it feels like to be an other. A writer's work is impossible if he or she cannot conjure up the lives of others, and only through such acts of memory, imagination, and empathy can we grow our capacity to feel for others.
We need stories to give voice to a writer's vision, but also, possibly, to speak for the voiceless.
Readers and writers should not deceive themselves that literature changes the world. Literature changes the world of readers and writers, but literature does not change the world until people get out of their chairs, go out in the world, and do something to transform the conditions of which the literature speaks.
윗부분은 좀 반박하고 싶긴함.
The problem here is that the people we call voiceless often times are not actually voiceless. Many of the voiceless are actually talking all the time. They are loud, if you get close enough to hear them, if you are capable of listening, if you are aware of what you cannot hear. The problem is that much of the world does not want to hear the voiceless or cannot hear them.
난민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도, 그 지독한 지옥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여성들을 생각하게 된다. 난민들의 자전적인 이야기들을 엮어 이 책을 만든 저자는 피난길을 시작할 때 가족의 '재산을 지키도록' 남기고 왔다는 누이에 대해 짧게 언급 했다.
살아남지 못한 사람들. 말을 할 수 없었던 사람들. 말해도 신뢰를 얻지 못했던 이들. 그렇게 꾸준하고 철저하게 지워져나간 존재들.
이 세상의 가장 마지막 식민지, 여성.
'독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든아워 - 2019.07.07 (0) | 2019.07.23 |
---|---|
[Documentary]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다 beyond the curve (0) | 2019.03.11 |
희랍어 시간 - 2019.01.31 (0) | 2019.02.01 |
살인자의 기억법 - 2019.01.30 (0) | 2019.01.31 |
오직 두 사람 - 2019.01.30 (0) | 2019.01.31 |
글
When individuals of deep scholarship and intellectual daring lunge ahead of the learned community whom they are addressing, they may not receive the honor that they deserve. Instead, they may blend undistinguished into the scholarly landscape and somehow become taken for granted. Something like this has happened to the scholarly contributions of David Valentine Tiedman (1919-2004). Being the first psychologist to systematically apply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o the comprehension of careers, Tiedeman broke with intellectual traditions to lead the counseling profession in a new direction.
재밌는 서문을 발견했다. Mark L. Savickas의 David V. Tiedeman: Engineer of Career Construction이라는 논문에서다.
아카데미아에서도 물론이거니와, 사회에서도. 나이가 들 수록 더 이해할 수 있게 되는 진리 같은 문구가 하나 있는데,
'열심히 하는 놈은 즐기는 놈을 못 이기고, 즐기는 놈은 운 좋은 놈을 못 이긴다.' 라는 말이다.
진짜 이문구가 originally 정확한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내가 생각하기에는 이 말은 참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최강승자인 운 좋은놈에서 나오는 '운'이란.. 모든 사회적 자원과 부정의 및 차별의 결과까지 다 내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인간은 privilege와 marginalization의 교차로에 서 있다.
완벽하게 특권적인 지위만을 누리는 사람은 극소수이며, 대부분의 이들이 자신의 일부 정체성에서 특권을 맛보고 일부 정체성에서는 소외를 경험한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을 배려하고 자신에게 자비를 베풀며 정의를 추구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의무의 일종이라 생각한다.
나 자신도 모르게 혜택을 입었던 것들에 감사하고, 또 내가 소외되는 그 자리에서 타인과 연대하여 부정의를 바꿀 수 있는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게 될 테니까.
사실 저 문구를 보면서, Tiedeman이 소외되어 봤자 얼마나 소외되었겠나 싶다.
2004년에 죽은 사람인데 적어도 15년이 지난 지금 유무명한 학자들이 (savickas 매우 유명한 분) 논문을 퍼블리쉬해서 그의 공을 기려주니까. 그리고 이싸람들아... 그 사람 하버드 교수였어 왜이래!!!!!!!!!...
오히려 수많은 여성 학자들과 소수인종의 학자들의 지워진 업적, 더 나아가 지금도 지워지고 있는 여성들의 업적을 생각한다면 그의 업적이 좀 덜 기려졌다는 것이, 딱히 놀랄만한 일은 아니니까.
운이 좋다고 느꼈던 시절이 있었다. 사실 지금도 그렇다.
아주 많은 순간들에, 내가 의식하지 못했던 나의 정체성을 향한 차별과 앞으로 미래에 있을 부정의들에 분노하지만, 가끔은 그래, 감사할 것들이 이렇게 많구나. 목소리가 지워진 더 많은 이들을 위해 노력해야 겠다, 라는 생각을 해 본다.
오늘은 비가 온다. 눈이 아닌 비가 오는 것을 보니 드디어 날씨가 조금은 풀려가는 건가 싶어 평소에 좋아하지 않는 비가 반갑다.
공부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집 가까운 거리에 공부할 공간이 있고, 좋아하는 공공 도서관이 있고, 학교에는 오피스가 있어서 감사하다.
그리고 이 많은 시간들에 노력을 통해 내가 누려온 운을, 기회를, 특권을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다.
'미국유학 > 유학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19/19] Spring Break (0) | 2019.03.20 |
---|---|
[03/11/2019] 봄이 오는 날 (0) | 2019.03.12 |
[02/22/2019] 숙면 (0) | 2019.02.23 |
[02/15/2019] 내담자 경험 (0) | 2019.02.16 |
[02/10/2019] 큰 사람들 (0) | 2019.02.11 |
RECENT COMMENT